소설 기본 설정/대체역사

간지 육십갑자

검은누렁이 2022. 2. 25. 04:21
반응형

간지 (干支)


십간 (十干)










 
십이지 (十二支)












 


육십갑자 (六十甲子)

육십갑자 六十甲子
甲子
갑자
乙丑
을축
丙寅
병인
丁卯
정묘
戊辰
무진
己巳
기사
庚午
경오
辛未
신미
壬申
임신
癸酉
계유
甲戌
갑술
乙亥
을해
丙子
병자
丁丑
정축
戊寅
무인
己卯
기묘
庚辰
경진
辛巳
신사
壬午
임오
癸未
계미
甲申
갑신
乙酉
을유
丙戌
병술
丁亥
정해
戊子
무자
己丑
기축
庚寅
경인
辛卯
신묘
壬辰
임진
癸巳
계사
甲午
갑오
乙未
을미
丙申
병신
丁酉
정유
戊戌
무술
己亥
기해
庚子
경자
辛丑
신축
壬寅
임인
癸卯
계묘
甲辰
갑진
乙巳
을사
丙午
병오
丁未
정미
戊申
무신
己酉
기유
庚戌
경술
辛亥
신해
壬子
임자
癸丑
계축
甲寅
갑인
乙卯
을묘
丙辰
병진
丁巳
정사
戊午
무오
己未
기미
庚申
경신
辛酉
신유
壬戌
임술
癸亥
계해

 

 

조선에서 사건을 기록하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예시

1592 - 임진년 임진왜란

1593 - 계사년

1594 - 갑오년

1595 - 을미년

1596 - 병신년

1597 - 정유년 정유재란

 

1866 - 병인년 병인양요

1871 - 신미년 신미양요

1884 - 갑신년 갑신정변

1894 - 갑오년 갑오개혁

1895 - 을미년 을미사변

 

 

육십갑자가 쓰인 주요 사건들 
15 세기 16 세기 17 세기 18 세기 19 세기 20 세기
계해약조
(1443)

칠정산편찬
(1444)

계유정난
(1453)

무오사화
(1498)
갑자사화
(1504)

기묘사화
(1519)

을사사화
(1545)

을묘왜변
(1555)

임진왜란
(1592)

정유재란
(1597)
기유약조
(1609)

정묘호란
(1627)

병자호란
(1636)

시헌력 도입
(1653)

기해예송
(1659)

경신환국
(1680)

기사환국
(1689)

갑인예송
(1694)

갑술환국
(1694)
신임사화
(1721)

정미환국
(1727)

신해통공
(1791)
병인박해-병인양요
(1866)

신미양요
(1871)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병자수호조약)
(1875~1876)

임오군란
(1882)

갑신정변
(1884)

갑오개혁
(1894)

을미사변
을미개혁
을미의병
(1895)

대한제국 수립
(1897)
을사조약
(1905)

정미7조약
정미의병
(1907)

기유각서
(1909)

경술국치
(1910)

신해혁명
중국 황제시대 종료
(1911)

기미독립선언
(1919)

 

 

 

 

 

반응형